Post

네트워크 (네트워크 대역)

CSAP 인증을 준비하면서 사내 개발망과 비개발망의 네트워크 분리가 필요했다.
TP-Link 관리자 툴을 이용해 작업하는데 네트워크 지식이 부족해 아래 글을 보면서 우선 공부했다.

출처 : https://hello-backend.tistory.com/m/176

네트워크 대역


같은 대역대는 별도의 작업 없이 서로간 통신이 가능하다.
다른대역대는 (서브넷 기준) 라우터 장비가 있어야만 서로간 통신이 가능해진다.

그렇다면 개발자 PC의 사설 대역대와 그외 PC의 대역대를 구분,
NAS등 사내 서버의 대역대를 구분해둔다면 사내서버에 접근할때 라우터 장비가 필요한가?

위 내용은 스위치를 따로 구성하여 네트워크 대역을 구분했을때에 대한 설명으로
VLAN 기술을 이용하여 구분할 경우 여러대의 스위치와 라우터가 필요하지 않다.
네트워크 대역 구분하기



Subnetting

Subnetting은 하나의 네트워크를 서로 다른 여러 대역으로 분할하는 것을 뜻한다.

Q : 사무실에서 192.168.0.0/24 대역의 IP를 할당받았을 때에 100명의 근로자가 서브넷 없이 사용하게 된다면
A : 256개의 IP중 (192.168.0.0 ~ 192.168.0.255) 150개 정도의 IP가 낭비되게 된다.

이것을 서브넷팅 했을때

Subnetting : 192.168.0.0/25 => 192.168.0.0 ~ 192.168.0.127 //// 192.168.128.0/25 => 192.168.128.0 ~ 192.168.128.255
A : 100명의 근로자에게 IP를 할당하고, 나머지 IP를 아낄 수 있다.

  • /25 or /24 or /32 는 서브넷 마스크 표를 참조하면 알 수 있는데
    /24 : 256개의 host, /25 : 128개의 host, /32 : 1개(지정된 ip만)의 host 수를 뜻한다.

    192.168.0.0/25 => 192.168.0.0 ~ 192.168.0.127 : /25가 128개의 host 수를 뜻하기 때문에 0~127 까지의 호스트가 지정되는 것


  • 총량은 C Class Default SubnetMask가 255.255.255.0 이기 때문에 총 256개의 호스트를 가질 수 있다.


호스트/서브넷 마스크 개념


파란색 24개 숫자가 동일한 경우 같은 대역 대역을 의미 (이 부분을 네트워크 부분이라고 부른다.)
24개의 네트워크 부분은 라우터를 통하지 않고 통신이 가능하다 == 브로드캐스트 영역

나머지 8개의 비트는 Host부분이다.같은 브로드캐스트 영역 안에 있는 각각의 서버 혹은 장비를 뜻한다.





스위치

스위치는, 여러 장비를 연결하여 하나의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비이다.

우리가 사용하는 각종 디바이스들은 이 스위치를 통해 서로 통신하고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된다.

스위치는 다양한 기능을 갖고 있는데, 이 중 가장 대표적인 네 가지 기능을 알아본다.



라우터 (L3 Switch)

요즘은 L3스위치에서도 라우팅 기능이 제공되기 때문에 L3스위치라고 많이 부른다.
-> 완전 똑같은건 아니고 차이가 있기는 한데…거의 동일해서 요즘은 동일하게 쓴다 한다.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라우터는 통신을 위한 길을 찾아주는 경로 결정 역할과 스위칭 기능을 제공한다.



네트워크 대역 구분하기

사내에서 네트워크 대역을 구분 하는데 는 보안, 네트워크 속도 등 여러 이유가 있다.
개발자의 네트워크와 비개발자의 네트워크 대역, 인터넷 전화기의 네트워크 대역을 구분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L2, L3 스위치와 라우터 등 여러 장비를 도입해서 구분하는 하드웨어 구분 방법과 VLAN이라는 논리망을 구분하는 소프트웨어 구분 방법이 존재한다.

하드웨어 구분방법

소프트에어 구분방법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